건강 관련 리뷰

신생아 출산 후 산모의 1주

마뚜니 2022. 8. 8. 15:3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마뚱이에요!!

오늘은 아이를 출산한 후, 산모들은 어떤 생활을 하게 될까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입퇴원 시, 일상생활은 어떻게 하는지, 목욕은 해야 하는지, 하지 말아야 하는지, 식사는 어떻게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 입퇴원

분만 당일과 산후 3일 정도는 산모의 절대 안정이 필요해요.

특히 사지 관절 부위의 인대가 매우 약해져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운전을 하는 등 무리는 피하시는 게 좋아요.

입퇴원할 때에는 아이를 직접 안기보다는 신생아 카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개인적으로 신생아 바구니 카시트를 따로 구매하시는 것보다는 7세까지 사용할 수 있는 카시트를 처음부터 구매하셔서 아이가 적응을 빨리할 수 있게 도와주시는 게 더 좋은 것 같아요.

저희 축복이는 운 좋게 카시트를 갈아탔을 때 마음에 들었는지 조용히 넘어갔지만, 다른 아이들의 경우에는 카시트를 바꿨을 때 불편해서 아무리 비싼 카시트를 사더라도 안타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여름에 차로 움직여야 할 때에는 운전은 아빠가 하도록 해 주시고, 엄마는 아이와 함께 뒷좌석에 앉아 주시면 돼요.

출산 직후, 특히 여름철에는 엄마에게 직접적인 에어컨 바람은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뒷좌석에서 아이와 함께 앉아계시는 게 좋아요.

  • 일상생활

출산 직후, 심신이 지쳐 있는 상태로 피부의 수축과 이완 능력이 떨어져 있는 산모는 땀이 물 흐르듯 쏟아지기도 하고, 소변량도 많아져요.

땀이 식으면 감기에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따뜻한 물수건으로 자주 닦아주고 옷도 자주 갈아입으시는 게 좋아요.

실내 온도는 22~26도가 적당하고 습도는 40~60%를 유지하도록 해야 해요.

환기도 중요하기 때문에 하루 세 번 정도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해 주세요.

  • 목욕

예전에는 삼칠일 동안 씻지도 않고 머리도 감지 않았다고 해요.

하지만 요즘엔 출산 후 3~5일 정도가 지나면 간단한 샤워는 해도 좋다는 게 전문가분들의 의견이라고 하죠.

하지만 허리를 굽히거나 손가락 관절에 힘을 줘 머리를 감는 등, 몸에 무리가 가는 자세는 피해주시는 게 좋아요.

탕 목욕은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분만 후 산욕기 동안은 피해주시는 게 좋아요.

산욕기 6주가 지나게 되면 탕 목욕도 가능해요.

  • 식사

산모의 지쳐 있는 몸을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먹는 것도 정말 중요해요.

보통 소화가 잘 되고 영양가가 많이 있는 음식을 골고루 먹어 주시는 게 좋지만, 몸에 좋다고 소문난 음식만 찾기보다는 밥과 미역국을 기본으로 하되, 다양한 채소와 해조류,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해 주시는 것이 좋아요.

산후 부기를 뺀다며 이뇨작용이 강한 음식들을 섭취하는 경우도 있는데, 부종은 몸이 기력을 회복하면 저절로 가라앉기 때문에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회복 중에는 기름기와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셔야 해요.

고열량의 음식을 오래 섭취하게 되면 산후 비만이나 유선이 막히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728x90
반응형